Biography

The impetus for Eunha Kim’s work lies in an imaginative inquiry into a world beyond consumption. She imbues surplus materials cast off by fast fashion—garments designed for rapid consumption and disposal—with renewed vitality and meaning. Her sculptural experiments unfold at the intersection of systemic social cycles and personal narratives.

Recently, Kim has been extending her sculptural imagination into the ecological realm. She pays close attention to such organisms as booklice and fungi, which break down natural fibers and thrive upon them, thereby exploring the cyclical relationship between clothing and nature. In particular, the morphological affinities between threads that constitute garments and fungal mycelium serve as a conceptual foundation for envisioning fluid boundaries between matter and life, the artificial and the natural, leading to the artist’s dystopian worldview. Kim introduces imagined mushrooms and butterflies that are extinct or endangered, creating an ecosystem where reality and fantasy coexist. The butterfly, both an indicator of ecological change and a conduit between the artist’s speculative world and our own, summons extinguished life atop “imperishable materials,” raising questions about the continuity of existence and memory. 



김은하의 작업은 소비 이후의 세계를 상상하는 데서 출발한다. 그는 빠르게 소비되고 버려지는 의류, 패스트패션이 남긴 잉여 재료에 새로운 생명과 의미를 부여하며, 사회적 순환 구조와 개인적 서사가 교차하는 조형적 실험을 이어간다.

최근 김은하는 조형적 상상력을 생태적 상상력으로 확장하고 있다. 그는 좀벌레와 버섯처럼 천연 섬유를 분해하고 그 위에 자라나는 생물의 존재에 주목하며, 의류와 자연 간의 순환 관계를 탐색한다. 특히 옷을 구성하는 섬유 실타래의 짜임과 버섯 균사체 사이의 형태적 유사성은 물질과 생명, 인공과 자연의 경계를 넘나드는 상상력의 기반이 되어 작가의 디스토피아적 세계관으로 이어진다. 작가는 실존하지 않는 상상의 버섯과 멸종 혹은 멸종 위기의 나비를 등장시켜 현실과 가상이 공존하는 생태계를 구축한다. 나비는 생태계 변화의 지표이자 작가의 세계와 현실을 연결하는 존재로, ‘소멸되지 않는 재료’ 위에 사라진 생명을 다시 등장시키며 존재의 지속성과 기억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Selected Works

Publication Purchase Inquiry

Publication Name
Quantity
Your Name
Phone Number